=도보 여행= 634

국가 유산 경주시 동궁과 월지

@ 2025년3월 27일 목요일@  이곳 동궁과 월지는 신라 문무왕(674년) 때 지어진 별궁입니다. 당시에는 **왕자가 머무르는 곳**이었고, 연회를 여는 장소로도 활용되었다고 합니다.이곳은 원래 ‘안압지(雁鴨池)’라고 불렸지만, 2011년 발굴 조사에서 **"월지(月池)"라는 신라 시대 기록**이 발견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습니다.  ▼ 동궁과 월지 매표소▼ 동궁과 월지 조감도▼  제3복구 건물▼월지 풍경▼ 복구5  건물▼ 복구1건물(우측), 복구3건물(좌측)▼ 복구5 건물(우측)▼ 동궁과 월지의 모습@ 동궁과 월지를 관람으로 오늘의 낮 시간 관광은 마무리하고 저녁 야경을 보기 위하여 주차장으로가 월정교로 이동하여 저녁을 먹고 월정교, 첨성대, 동궁과 월지 야경을 보고 숙소인 토함산자연휴양림으로..

=도보 여행= 2025.04.02

국가유산 탐방 경주 계림, 월정교, 반월성

@ 2025년 3월 27일 목요일@ 이번 경주 여행은 국가유산  방문코스 방문자여권 스템프 도장 찍기 일환으로 1박2일 일정으로 경주를 방문하게 되었다. 이번 경주 방문으로 생애 4번째 방문이다. 옥산서원과 대릉원 그리고 첨성대을 거쳐 계림에 이른다. 계림은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첨성대(瞻星臺)와 월성(月城) 또는 신월성(新月城) 사이에 있는 숲으로 왕버들 · 느티나무 · 단풍나무 등의 고목(古木)이 울창하게 서 있는, 신라 건국 당시부터 있던 곳이다. 시림(始林)이라 부르다가 김씨(金氏)의 시조(始祖) 김알지(金閼智)가 태어난 이후부터 계림(鷄林)이라 하였다.경주 반월성에서 첨성대로 내려가는 중간에 위치한 숲이다. 숲 가운데로 시냇물이 흐르고 그 주위는 습지이다. 울창한 숲이지만 이곳의 나무..

=도보 여행= 2025.04.02

국가유산 탐방 경주 대릉원

@ 2025년3월 27일 목요일경주 대릉원은 경주시 노동동과 황남동에 있는 신라 시대의 고분군을 말하며 노동동 고분군, 노서리 고분군, 황남동 고분군, 황오동 고분군, 인왕동 고분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동동 고분군은 고신라 시대 무덤들로, 봉황대, 식리총, 금령총 등이 포함되어 있다. 봉황대는 밑둘레 230m, 직경 82m, 높이 22m로 황남대총 다음으로 규모가 큰 무덤으로 덧널을 설치한 돌무지덧널무덤이다. 노서리 고분군은 넓은 평지에 크고 작은 고분 14기가 있다. 노동리의 봉황대 고분과 더불어 규모가 있고, 쌍벽을 이루는 제130호 고분을 비롯해, 1921년에 금관이 출토된 금관총, 1926년에 일본 방문 길에 스웨덴의 황태자이며 고고학자인 구스타프 6세 아돌프가 들러 발굴을 조사 참관한, 서봉총..

=도보 여행= 2025.04.02

국가유산 경주 옥산서원

@ 2025년 3월 27일 목요일 @ 경주에 있는 국가유산을 탐방하기 위하여 1박2일 일정으로 길을 떠났다. 그 첫 방문지가 옥산서원이다.사적 제154호인 옥산서원은 이언적(李彦迪)의 덕행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해 1572년(선조 5) 경주부윤 이제민(李齊閔)이 지방 유림의 뜻에 따라 창건했다. 1574년 사액 서원이 되었다. 1871년 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할 때 훼철되지 않고 존속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다.@ 옥산서원 주차장에 도착하니 벚꽃이 한창피기 시작한다,  마을 주민의 쉼터인 오원정이 주의 풍경과 잘 어울인다. ▼ 예쁜 동백꽃▼ 활짝 핀 벚 꽃을 담아 보고▼ 먼저 문화관광해설사의 집에 배치된 여권도장을 찍고.▼ 세계유산에 등재 되 우리나라 서원은 총 9개▼ 화장실은 장애인 주차장 바로 옆에 있..

=도보 여행= 2025.03.30

원주 소금산 그랜드밸리

@ 2025년 3월 23일 일요일@ 4월달에 포항으로 여행을 가기로 약속 했지만 취업 관계로 갈 수가 없어 미리 1일  나드리를 가기로 하고 원주 소금산 그랜드밸리를 다녀 오기로 했다. 소금산 그랜드밸리는 몇 번 다녀간 적이 있다.  소금산 산행 때, 출렁다리 만들어 놓았을 때, 울렁다리 만들어 놓았을 때, 이 번이 네 번 째이다. 와서 보니 케이블카도 다니고 있었다. 이번에는 산악 에레베이터 타러 왔는데, 다음에 타기로 하고 출렁다리 계단아래 매표소에서 케이블카를 빼고 표를 구매했다. @ 소금산 그랜드밸리 코스는 3가지 코스로 운영되고 있다.      1, 통합퀀코스 = 케이블카 - 출렁다리 - 하늘정원 - 데크산책로 - 소금잔도길 - 스카이워             크 - 울렁다리 - 산악 에스컬레이터..

=도보 여행= 2025.03.30

안성 금광호수공원 전망대

@ 2025년 3월 17일 월요일@ 세종 포천간 고속도로가 안성까지 개통 됨에 따라 고향집 왕래하기가 조금 수월해졌다. 세종 포천간 고속도로를 이용하다 보니까 금광호수에 멋진 전망대와 걷기 좋은 산책길이 있다고 하여 다녀 왔다. 네비에 "안성 금광호수공원 전망대" 입력하면 주차장까지 안내한다. @  금광호수 가는길에 배티고개에 올라 서니 안내판이 있어 담아 읽어 본다. @ 꼬불꼬불 배티고개를 내려가고 이리저리 가다 보니 금광저수지앞에 이르고 저수지를 우측에 두고 돌아 가니 주차장에 도착 된다. 주차장은 평일인데도 거의 차있다. 휴일에는 주차난이 있을거 같다. 주차장 주변에는 여러 안내문이 있다. ▼ 관광안내소@ 안내소는 09:30 ~ 17:30 까지 운영되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며 월요일이 휴일인 경우 ..

=도보 여행= 2025.03.22

음성 반기문 기념관

@ 2025년 3월 16일 일요일@ 요사이 쉬고 있기 때문에 시골에 내려가 감자를 심을려고 내려갔다. 금요일 내려가 토요일 오전에 감자 심고 점심 먹고나니 눈발이 날리더니 갓밤에 기온이 뚝 떨어지고, 바람도 불고 해서 쉬기로 한다. 생각하니 집에있는 것 보다는 한 번 바람좀 쐐고 올려고 생각하니 얼마전에 음성시내에 나무 묘목 시장이 생겨다고 인터넷에소 본 기억이 있어 구경가기로 하고 자동차를 몰고 갔다. 생각 보다 규모가 작다. 대추나무 2그루를 구입하고 나니 시간이 조금 일러 어디 갈까 찾아보니 반기문 기념관이 인근에 있아 찾아 가 보기로 한다. @ 전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은  제33대 대한민국 외교통상부장관을 지냈으며 제8대 국제연합(UN) 사무총장이다. 어린 시절부터 외교관을 꿈꾸기 시작했다. 고등학..

=도보 여행= 2025.03.20

인왕산 둘레길 서대문구 구간 걷기

@ 2025년 3월 9일 맑음@ 인왕산 둘레길은 종로구 둘레길과 서대문구 이음길을 이어 놓은 길이다. 작년에 무지개다리에서 동남방향인 종로구 둘레길을 윤동주문학관 까지 걸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무지개다리에서 서북방향으로 서대문구 이음길을 걸어 윤동주문학관까지 걷는 계획을 세우고 길을 떠난다. @  3호선 독립문역 5번 출구로 나가 직진하여 500m 정도 가면 무지개 다리로 올라가는 가파른 계단이 있다. 이 계단을 올라 서면 바로 하늘다리다.▼ 5번출구에서 가다가 우측의 인왕산 바위을 담았다.▼ 계단을 타고 올라서면 무지개다리 초입에 이르고 서대문이음길 안내도와 이정표가 세워져있다. ▼ 무지개 하늘다리▼ 무재개다리 상판 이 길을 건너 간다. ▼ 다리에서 본 풍경 ,독립문역 방향▼ 다리를 건너면 안내지도가 있..

=도보 여행= 2025.03.11

수원행궁

@ 2025년 3월 7일@ 수원화성을 한 바귀 돌아 서장대관광안내소 성문에서 수원행궁방향으로 내려서면 바로 행궁에 도착된다. @ 화성행궁은 효성이 지극했던 정조대왕은 아버지 장현세자(사도ㅗ세자)의 묘소를 현륭원(현재의 융릉)으로 옮기면서 수원 신도시를 건설하고 수원화성 성곽을 축조하면서 화성행궁을 건립했습니다. 화성행궁은 화성 안에 자리하고 있으며, 조선 행궁중 규모나 기능면에서 단연 으뜸으로 꼽힙니다. 평상시에는 수원부 관아로 사용되다가 정조대왕 행차시에는 화성행궁에서 머무르며 진찬연및 과거시험 등 여러 행사를 거행했습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낙남현을 제외한 시설이 민족문화와 역사 말살 정책으로 사라졌습니다. 1996년 1단계 복원 공사가 시작되어 2003년 10월 일반에게 공개되었으며 현재도 복원공사..

=도보 여행= 2025.03.10

국가유산탐방 수원 화성 =2편

@ 2025년 3월 7일@, 수원화성 장안문에 도착하니 점심시간이 되어 손칼수로  식사를 하고 다시 수원화성 탐방길에 나선다. ▼ 장안문을 지나면 곧 북동적대를 만난다. ▼ 북동적대▼ 북동치▼ 북동포루▼ 북동포루 위, 아래 북수문▼북수문(화홍문)▼화홍문(북수문)▼ 동북각루▼방화수류정(용연)▼ 북암문▼동북각루▼ 방화수류정(용연)▼북암문▼매화나무▼동북포루▼동북포루▼동암문▼ 동장대(연무대)▼동장대 앞 마당▼ 투석 ▼동북공심돈▼ 동북노대▼동북공심돈▼동북노대▼ 창룡문 천장▼청룡문▼ 동일포루▼동1치▼동포루▼동2치▼ 봉돈▼동2포루▼ 동3치▼동남각루▼ 남수문▼ 남수문과 동남각루▼ 팔달문▼ 팔달문 안내소@ 팔달문 안내소에서 부터서남암문 까지는 매우 가파른 계단길을 올라가야 한다. ▼ 남치▼ 홍난파 노래비 ▼ 남포루▼ 매..

=도보 여행= 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