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기행

하동쌍계사

노송☆ 2021. 10. 21. 10:13

@ 2021년 10월 1일

쌍계사 구층 석탑

쌍계사(雙磎寺)는 신라 성덕왕 22(723) 대비(大悲), 삼법(三法) 두 화상께서 선종(禪宗)六祖이신 혜능스님의 정상을 모시고 귀국, "지리산 설리갈화처(雪裏葛花處 : 눈쌓인 계곡 칡꽃이 피어있는 곳)에 봉안하라"는 꿈의 계시를 받고 호랑이의 인도로 이 곳을 찾아 절을 지은 것이 유래가 되었다.

그 뒤 문성왕 2(840) 중국에서 선종의 법맥을 이어 귀국하신 혜소 진감(眞鑑)선사께서 퇴락한 삼법스님의 절터에 옥천사(玉泉寺)라는 대가람을 중창하시어 선의 가르침과 범패(梵唄)를 널리 보급하시었다. 그 후에 정강왕(定康王)은 이웃에 옥천사가 있고 산문밖에는 두 시내가 만난다 하여 "쌍계사"라는 사명(寺名)을 내렸다. 그간에 벽암, 백암, 법훈, 만허, 용담, 고산스님의 중창을 거쳐 오늘에 이르는 동안 고색창연한 자태와 웅장한 모습을 자랑하고 있다.

쌍계사는 국보 1점(진감국사 대공탑비-국보47호보물 9(1,대웅전-보물 500, 2,쌍계사 부도-보물 380, 3,팔상전 영산회상도-보물 925, 5,대웅전 삼세불탱-보물1365, 6.대웅전 목조 삼세불좌상 및 사보살입상-보물 제1378, 7,쌍계사 괘불-보물 제1695, 8,쌍계사 감로왕도-보물 제1696, 9,쌍계사 동종-보물 제1701) 의 국가지정 문화재와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 청학루, 마애불, 명부전, 나한전, 적묵당, 설선당, 육조정상탑전, 팔상전, 사천왕상, 산중탱, 아미타후불탱, 불경책판 등의 20점의 지방지정 문화재, 30여점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사암, 불일암, 도원암 등의 암자가 있으며, 조계종 25개 본사중 제13교구 본사이기도 하다.

매표소 입구입니다.
좌측길로 들어갑니다.
쌍계사 가람도,
하동쌍계사 일주문( 경상남도 유형문화제 제 86호)

@ 일주문은 속세을 떠나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서는 첫 관문으로 한결 같은 마음으로 정신을 수양하고 진리의 세계로 향하라는 뜻을 담고 있다. 쌍계사 일주뭔은 조선 인조 19년(1641)에 벽암 화상이 지었다고 하며 1977년에 고산 화상이 손질하여 고쳤다. 일주문으로서는 드물게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자지붕을 올렸다. 건물높이에 비해 지붕이 넓지만 추녀 밑에 받침 기둥을 세우지 않고 기둥의 앞뒤에 보조 기둥을 세워 지붕을 안전하게 받치고 있다. 처마는 2단으로 되어 있는 겹처마이며 처마을 받치는 기둥머리 장식이 기둥사이에도 있는 다포 형식이어서 화려하다. 또 기둥머리 장식 부재가 가늘고 섬세한 점 등 장식성이 강한것으로 보아 조선 시대의 양식 보다는 근대적 건물이라고 할 수 있다.

부도전

@ 일주문을 지나면 곧 금강문에 이른다.

금강문

@ 금강문을 지나면 천왕문이 나온다.

 

@ 천왕문에는 칼을 들고 있는 동방 지국천. 비파을 들고 있는 서방 광목천, 용과 여의주를 들고 있는 남방 중장천, 탑과 지물을 들고 있는 북방 다문천이 네 방위를 수호하고 있는데 제석천왕을 섬기며 사천왕상이 위협적인 인상을 쓰고 있는 것은 타고난 성질이 횡포무상하고 인과의 도리를 모르는 무리들을 힘으로 굴복시켜 교화하는 임무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 금강문을 지나이 9층 석탑이 눈앞에 다가 온다.

9층 석탑

@, 하동 쌍계사 구층 석탑은 고산 화상께서 인도 성지 순례를 마치고 돌아올 때 스리랑카에서 직접 모셔온 석가모니 부처님 진신사리 3과와 산내 국사암 후불탱화에서 출현한 부처님의 진신사리 2과 그리고 전단나무불상 일존을 모셨다. 이 탑은 국보 제 48호 월전사 팔각 국층 석탑과 유사한 형식으로 불기 2531년(서기1987년)1월 3일 시공하여 불기 2534년(서기 1990년3월15일) 완공하였다.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국보제 47호)

@ 진감선사탑비는 신라 말의 명승 진감선사 혜소의 넉을 기려 세운 탑비로 진성여왕 1년(887)에 세워졌다. 선사의 속성은 최씨로 애장왕 5년(804)에 당나라로가서 신감 대사 밑에서 승녀가 되었고 봉덕왕5년(830)에 중국의 선정의 법맥을 잇고 신라로 돌아와 당시 왕들의 우러름을 믿다가 77세나이로 지금의 쌍계사인 옥천사에서 입적하였다. 885년에 한강왕은 혜소에게 진감선사라는 시호를 내리고 대공령탑(大功靈塔)이라는 탑호를 내려 탑비를 세우도록 했다. 이 비석의 글은 최치원이 짓고 쓴 시산비명 가운데 하나로 당내의 문장 연구와 불교사 연구에 종요한 참고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전체 높이는 363cm, 비의 전체 높이는 213cm, 나비는 약 100cm 두께는 22.5cm 이다.

대웅전과 나한전, 첨성각
대웅전과 명부전, 설선당

@, 하동 쌍계사 석등은 절 안의 어둠을 밝힐 뿐만 아니라 부처의 진리를 빛으로 비춰 중샹을 깨우치고 선한 길로 이끈다는 뜻도 있다. 쌍계사의 석등에는 등불을 놓아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과 그 위에 얹는 지붕돌이 없어서 본디 모습을 알기 어렵다.  위 받침돌은 여덟잎의 연꽃을 얹어 놓은 모양으로 조각 하였고 아래 받침돌은 반대로 연꽃이 위로 솟게 조각하여 대칭을 이룬다. 받침돌에 새긴 연꽃무늬는 입체적이고 사실적이지만 석등의 기둥은 가늘고 길며 단순한 형태인 점으로 보아 통일신라 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대웅전에 모신 삼존불

대웅전 안에는 삼불(三佛) 사보살을 모셔 놓았다. 대웅전에는 크게 보아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그 좌우에 약사여래불과 아미타불을 모셔놓았다. 세부적으로 보면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문수보살, 보현보살이 협시, 약사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일광보살, 문수보살이 협시,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보현보살, 대세지보살이 협시하는 형태이다. 좌로부터 관세음보살 아미타불 보현보살 석가모니불 문수보살 약사여래불 일광보살의 형태이다.

금강계단

@, 금강계단은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곳으로 산라의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석가모니 진신사리(眞身舍利)와 장경 일부를 가지고 들어오며 우리나라최초의 금강계단이 만들어진 불보사찰 통도사의 금강계단을 본떠 만든 쌍계사 금강계단이다.

화엄전

@ 화엄전은 쌍계사 불경 목판을 보관한 전각이다. 중앙에 비로자나부처님을 모시고 그 좌우에 불경 목판을 보관하고 있다.

@,석가모니 사리를 봉안한 곳을 불보사찰(佛寶寺刹), 고려대장경을 보관한 곳을 법보사찰(法寶寺刹), 고승을 많이 배출한 곳을 승보사찰(僧寶寺刹)이라 하는데, 이를 합쳐 3보사찰(三寶寺刹)이라 한다. 즉, 영축산 통도사와 가야산 해인사, 조계산 송광사가 이에 해당한다.

1, 통도사는 신라의 자장(慈藏)이 646년(선덕여왕 15년)에 창건하면서 당에서 가지고 온

   불사리(佛舍利)를 금강계단(金剛戒壇)에 봉안했기 때문에 불보사찰이라 한다. 그래서

   대웅전에는 불상을 모시지 않고 불단만 마련했다.
2, 해인사는 1398년(태조 7년)에 강화도 선원사에 있던 고려대장경을 옮겨와서 장경각

   (藏經閣)에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법보사찰이라 한다.

3, 송광사는 보조 지눌(普照知訥, 1158~1210년)을 비롯해서 혜심(慧諶, 1178~1234년) ·

   몽여(夢如, ?~1252년) · 혼원(混元, 1191~1271년) · 천영(天英, 1215~1286년) · 충지(冲

   止, 1226~1292년) 등 국사의 칭호를 받은 16명의 고승을 배출했기 때문에 승보사찰이

   라 한다.

마애삼존불
화엄전에 모신 비로자나부처님
청학루

@, 하동 쌍계사 청학루는 진감선사가 창건당시에 세운 거물로 처음 승려가 되는 사람들이 수도 하는 곳이다. 조선시데에 와서 인계화상, 우하화상 , 범성화상등이 새로 고쳐 지었고 지금의 건물은 1930년 쌍계사 주지 손민 화상이 손질하여 고쳤다. 청학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 크기로 산의 경사면에 지어서 앞에서 보면 2층의 다락집 형태의 누각이며 뒤에서 보면 1층이다. 거대한 자연석 주추돌 위에 둥글고 굵은 참나무 기둥을 세워 마루를 얹었으며 지붕은 옆면이 사라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1979년 고산화상이 손질하여 고쳐지어 오늘에 이르고 잇다.  

팔상전

@ 팔상전(八相殿)은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여덟 장면으로 나누어 그린 팔상도나 조각상을 모시는 전각이다.

@ 쌍계사관람을 마치고 차집에 들려 잠시 휴식를 취해 본다.

노고마주 숙소로 고고고~~~~

노고마주숙소 저녁
노고마주숙소 원두막에서 삼겹살 구이로 즐거운 저녁식사
노고마주숙소 일출= 10월 2일 아침 06-53-56
노고마주 숙소 아침

'사찰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도여행 3일차 구례 사성암  (0) 2021.10.28
구례 화엄사  (0) 2021.10.26
원주 치악산 구룡사  (0) 2021.06.08
예산 수덕사  (0) 2020.01.19
경남 남해군 2박 3일 여행 제3편= 금산(보리암)  (0) 2019.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