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2월 5일
@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천년기념물 제 436호)은 한탄강과 대교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며 주상절리는 27만 년 전 신생대, 제4기 용암 분출로 형성되었으며 용암이 굳어지면서 기둥 형태를 이룬 모양을 말하는데 이와 같은 형상은 한탄강과 대교천 현무암 협곡층에서 발견할 수 있다. 현무암협곡의 폭은 25m~40m이고 높이는 약 30m로 제4기 지질및 지형발달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이며 한탄강유역에서도 가장 수련한 자연경관을 이루고 있다.
@ 대교천 현무암협곡을 찾아가는 방법은 네비에 솔펜션( ) 입력하고 가면 아래지도 3번지점인 솔펜션앞에 도착하게 된다. 펜션 앞 도로 건너편에는 몇대의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여기에 주차하고 좌측으로 내려가는데 이곳에는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서라이벌 게임장이다. 눈이내려 미끄럽지만 조심스럼게 내려가면 안전하게 내려갈수 있다.
대교천에 내려서면 눈이 온 관계로 걸어 다니기에 많은 불편이 있다. 바닥은 눈이 덮여 미끌업고 해서 좌측 건너편 (위지도 "가"지점과 "나"지점)멋진 절리만 보고 가기로 한다.
@ 아래 사진은 위 지도 "가" 지점 절리 사진입니다.
협곡의 양쪽 벽을 이루는 현무암 용암층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서 기둥 모양의 주상 절리, 수평 방향으로 쪼개진 판상 절리, 부채꼴 모양의 방사상 절리 등 여러 절리가 발달되어 있다.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 내에는 과거 무당들의 제사지였다고 전해 내려오는 무당소가 위치하며, 다른 지역에서 관찰하기 힘든 절리인 방사상 절리는 부채살이 펴진 모양과 유사하다고 하여 부채바위라 불린다.
2004년 2월 23일 천연기념물 제436호로 지정되었다.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 1101번지 일대,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725번지 일대의
대교천 현무암 협곡은 지구 나이로 신생대 제4기 한탄가이 만들어진 시기에 형성됭 협곡이다. 50~13만년전 지금의 북한 강원도 평강군 일대에서 용암이 분출되었고 예전 한탄강 물길을 따라 흘렀다. 이 때 한탄강에 합류하는 대교천을 따라 용암이 채워졌다. 이후 오랜 시산이 지나면서 용암이 식고 깍여서 지금의 협곡을 만들게 되었다. 협곡의 전체 길이는 합류기점을 기준으로 약 1.5km 높이는 2~30m, 하천 폭은 20~40m로 그 당시 상당한 양의 용암이 흘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하천에 의해 깍여나간 여러가지 지형이 발달해 있고 부채꼴 모양으로 주상절리가 발달한 방사상 절리가 형성되는 등 학술적으로도 매우 가치 있는 명소이다.
지도의 "가" 지점 절리를 관람하고 상류로 조금 이동 하니 멋진 절리가 보이네요. 아래지도 "나" 지점입니다.
아래 사진은 위지도의 "나" 지점의 절리입니다.
아래 사진은 위 지도 "다" 지점 절리
위 지도의 "가. 나"지점의 절리를 관람하고 더 이상 미끄러운 눈길을 걷기가 불편해서 샘소로 이동하기 위해서 주차장에서 자동차를 타고 다시 지도의 2번까지 가는길에 대교천 건너편에 멋진 절리가 있어 ("다" 지점) 사진 찍고 2번 지점에서 좌회전 가는중 4번지점에 대교천현무암협곡 이정표가 있어 끝 지점까지 가서 자동차를 주차해 놓고 D 지점(대교천과 한탄강이 만나는 합수점) 까지 도보로 이동 한다.
이동 중 가창오리 군무도 본다.
계단이 바닥까지 이어지지 않아 계단끝에서 바닥까지는 눈길이라 더 이상 내려 가지 않고 계단 전망대에서 좌우로 사진만 찌고 뒤 돌라 왔다.
위 지도의 6지점에서 D 지점까지 도보로 이동 하면서 대교천 절리를 구경하고 6번지점으로 다시 돌아와 샘소로 이동 한다.
'=도보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천 한탄강 주상절리 8경중 7경 구라이골 (0) | 2021.03.02 |
---|---|
포천 한탄강 8경중 2경인 샘소 (0) | 2021.02.08 |
포천 한탄강 8경중 6경인 비둘기낭폭포 (0) | 2021.01.29 |
포천 한탄강 8경중 5경인 교동가마소 (0) | 2021.01.28 |
포천 한탄강 8경중 3경인 화적연 (0) | 2021.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