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대구 도동서원 역사문화탐방기

노송☆ 2012. 7. 15. 11:52

@ 대구 도동서원 역사문화탐방기

그래도 나에겐 로멘틱 2012/06/17 22:03

@ 2012년 6월 13일 수요일 맑음

@위치 :경북 달성군 구지면 구지서로726(구지면 도동리 35)

@ 도동서원은 朝鮮五賢 중 한분이신 한훤당 김광필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서 건립한 서원으로 1568년 유림에서 현풍헌 비슬산 기슭에 사우를 지어 향사를 지내오다가 1573년 쌍계서원으로 사액되었으나 1597년 왜란으로 전소되었다.구후 1604년 지금의 자리에 사우를 재건하고 보로동서원이라 불리다가 1610년 도봉서원으로 사액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홍선대원군의 전국 서원철폐령(1871)에도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전국 47개주요서원 중의 하나이다. 서원의 배치 형태는 진입공간, 강학공간, 제향공간으로 나뉘어져 있다. 진입공간 : 외삼문과 누각, 강학공간 : 강당.동재. 서재. 장판각, 제향공간 : 사당이 있다. 사당,강당,담장이 1963년 보물제 350호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에는 서원 전역이 사적제488호로 지정되었다. 특히 강학공간 출입문인 환주문은 그 구성이 특이하며 담장은 아름다운 토담으로 전국에서 최초로 보물로 지정되었다.

@ 도동서원 전경


@ 도동서원 앞 뜰에 있는 약 400년된 은행나무




@ 수월루는 도동서원의 정문격인 외삼문과 일종의 여유 공간인 누각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유생들의 휴식처나 강독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며 누각에 올라서면 동북쪽에서 흘러오는 낙동강과 고령 개진면 일대의 평야가 한눈에 들어온다.


@강학공간으로 들어가는 환주문

@ 강당인 중정당


@ 서재(거의재)

@ 동재(거인재)

@ 중정당의 축대, 끼어마춘 돌의 각선이 아름답습니다.


@ 중정당의 천장(연등 천장입니다)


@ 중정당 마루






@제향공간으로 들어가는 계단과 내삼문


@ 위패를 모신 사당





@ 보물로 지정된 아름다운 도동서원 토담

@김광필 선생은 1454년(단종2년) 서울 정릉동에서 태어났다.김종직(1431-1492)문하에 들어가 소학을 배웠는데 이를 계기로 소학에 심취하여 스스로를 "소학동자"라 일컬었다. 1498년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김종직의 문도로서 봉당을 만들었다는 죄목으로 평안도 회천으로 유배되었다가 전라도 순천으로 이배되었다. 1504년에 갑자사화가 일어나자 무오당린 이라는 죄목으로 극형에 처해졌다. 사후 성균관 유생들의 문묘종사 건의가 계속되어 1575년(선조10년)에 시허가 내려졌고 1610년(광햐군2년)에 정여창(1450-1504), 조광조(1482-1519), 이언적(1491-1553), 이황(1501-1570)함께 조선 5현으로 문묘에 종사 되었다.